close
온라인 상담

성함, 연락처를 남겨주시면
빠르게 상담을 도와드리겠습니다.

[보기]
add
TOP

Noblesse

리얼후기

이인재 최저임금위원장이 1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조회sentiment_satisfied 46회 작성일schedule 25-06-22 15:38

본문

이인재 최저임금위원장이 19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6차 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뉴시스 직장인 57%는 올해 최저시급 1만30원이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지 못한다"고 답했다. 임금이 높아서 최저임금 계층과 거리가 멀수록 현재의 최저임금이 충분하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직장갑질119는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최저임금 적정 수준' 설문결과를 발표했다. 최저임금위원회에서 2026년 최저임금을 본격 논의하기 시작한 만큼, 이번 조사는 최저임금에 대한 직장인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진행됐다. 응답자 57.4%는 2025년 법정 최저임금(시급 1만30원, 월 209시간 근로 기준 209만 원)이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지 못한다고 답했다. 이 같은 대답은 상대적으로 최저임금을 받는 근로자가 많은 고연령층과 낮은 직급, 영세한 사업장에서 높게 나타났다. 예를 들어 '상위 관리자' 구간에서 최저임금이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지 못한다는 응답이 40.0%였던 반면, 일반사원급에선 61.3%로 상승했다. 같은 응답 비중이 300인 이상 민간 기업에선 50.0%였지만 5인 미만 기업에선 65.7%로 높아졌다. 직장인들이 최저임금에 불만을 느끼는 이유는 급격한 물가상승도 영향을 미쳤다. 응답자 86.4%는 '물가 상승으로 사실상 임금이 줄어들었다'고 답했다. 이에 직장갑질119는 "최저임금이 실제 생활을 꾸려 나가기 위해 필요한 비용과 동떨어져 수많은 노동자가 노동 빈곤의 늪에 빠져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응답자 약 57%는 내년도 최저임금으로 월 251만 원(시급 1만2,000원) 이상을 요구했다. 응답 구간별 구체적 비율은 월 230만 원(시간당 1만1,000원) 30.6%, 월 251만 원 (시간당 1만2,000원) 27.5%, 월 272만 원 (시간당 1만3,000원) 14.3%, 월 292만 원 이상(시간당 1만4,000원) 15.2% 순이었다. 앞서 한국노총과 민주노총 등 노동계는 내년도 최저임금 제시안으로 1만1,500원을 발표했는데, 직장인들은 노동계 요구보다 더 경기도 고양시 서울시립승화원 2층 ‘그리다’ 빈소에서 무연고 사망자 유모씨와 신모씨의 장례식이 치러졌다. 텅빈 영정사진이 눈에 띈다. 경예은 기자. [헤럴드경제=경예은·박병국 기자] “이제는 편히 지내시라.”지난 4월 유모(56)씨와 신모(74)씨가 각각 자택과 병원에서 지병으로 숨졌다. 이들의 가족들은 시신 인수를 거부했다. 무연고 사망자. 유씨와 신씨 생애에 마지막 덧대진 행정기록이다. 유씨와 신씨는 살아생전 한번도 서로를 보지 못했지만, 마지막 가는 길은 함께했다. 숨진 후 차가운 안치실에 놓인지 두달 만이다.지난 12일 오전 9시30분 찾은 경기도 고양시의 서울시립승화원 2층 ‘그리다’ 빈소에서 이들의 합동장례식이 열렸다. 문상객도 없고 죽음을 슬퍼하는 울음소리도 들리지 않는다. 빈소내 영정 액자도 텅비어있다. 누구도 고인의 생전 사진을 건네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지기자를 비롯 장의업체 직원과 서울시의 장례 위탁을 받은 사단법인 나눔과나눔 관계자, 자원봉사자 등이 전부다. 고인이 어떤 생애를 살았는지는지는 빈소에 선 누구도 알지 못했다. 두 사람의 생애는 생몰년도로만 기억됐다.이수연 나눔과나눔 실장이 고인에 대한 소개하며 장례는 시작됐다. “유○○님은 1969년 생으로 2025년 4월 23일 돌아가셨습니다. 마지막 주소지는 서울 구로구입니다. 유○○님의 유골은 화장 후 승화원의 유택동산에 산골(유골을 화장한 후 흩뿌리거나 묻는 장례방식)될 예정입니다. 신○○ 님은 1950년생으로 지난 4월21일 돌아가셨습니다. 마지막 주소지는 서울시 중구입니다. 신○○ 님의 유골은 화장 후 승화원 내 유택동산에 산골될 예정입니다. 유○○ 님과 신○○ 님의 삶을 생각하면서 잠시 묵념하겠습니다.”자원봉사자 1명이 상주 역을 맡았다. 다른 자원 봉사자들이 절을 올렸다. 장의업체 관계자는 밥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꽂는 의식인 계반삽시(啓飯插匙)를 했다.마지막 장례 절차인 조사낭독은 본지기자가 진행했다. “당신이 간절히 소망했던 모든일들, 못다 이룬꿈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