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온라인 상담

성함, 연락처를 남겨주시면
빠르게 상담을 도와드리겠습니다.

[보기]
add
TOP

Noblesse

리얼후기

 -북유럽 혹한기 속 전방위 주행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조회sentiment_satisfied 65회 작성일schedule 25-06-19 12:26

본문

-북유럽 혹한기 속 전방위 주행 성능 입증-새롭게 개발한 첨단 열관리 기술 주목JLR코리아가 레인지로버 일렉트릭 프로토타입이 북극권의 영하 환경에서 두 번째 테스트 시즌 및 개발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19일 밝혔다.스웨덴 아르예플로그 일대의 얼음 호수와 눈 쌓인 구간에서 진행한 이번 겨울 테스트는 총 7만2,000㎞(약 4만5,000마일)에 달하는 누적 주행을 통해 혹한 환경에서 레인지로버 일렉트릭의 열관리 시스템 성능을 검증했다. 특히, 얼음 호수 주행은 싱글 페달 드라이빙 기능과 전환형 트윈 챔버 에어 서스펜션을 포함한 주행 역학 성능을 평가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이번 개발 단계의 핵심 과제 중 하나는 레인지로버 일렉트릭의 새로운 열관리 기술 써마시스트TM(ThermAssistTM) 성능 검증이었다. 해당 시스템은 난방 에너지 소비를 최대 40%까지 줄이고 영하 10도에서도 추진 장치와 실내 공간을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잔열을 회수한다.이 첨단 열관리 기술은 극한의 저온에서도 레인지로버 일렉트릭이 최적의 주행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 충전 성능 저하를 최소화해 언제든 안정적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덕분에 매우 추운 환경에서도 실내는 항상 따뜻하고 쾌적하게 유지한다.토마스 뮐러 JLR 제품 엔지니어링 수석 디렉터는 "아르예플로그와 같은 극한의 예측 불가능한 환경에서 이뤄지는 철저한 검증은 레인지로버 일렉트릭의 실제 주행 환경에서의 신뢰성과 내구성을 확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두 번째 북극권 테스트에서 써마시스트TM 기술은 기대 이상의 성능을 보였고 주행거리를 보다 지능적으로 최적화하는 동시에 충전 속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레인지로버 일렉트릭에 들어간 800V 고전압 배터리는 JLR이 자체 설계·제조한 첫 번째 배터리다. 에너지 밀도와 주행거리, 충전 속도를 최적화했다. 셀투팩 구조이며 총 344개의 프리즘 셀로 구성한 117㎾h 배터리는 이중 적층 방식을 정밀하게 반영했다. 레인지로버 고유의 정숙하고 부드러운 주행 감각을 전기차에서도 그대로 이어간다.레인지로버의 핵심 가치인 전지형 주행 성능과 고급스럽고 정숙한 주행 성능은 싱글 페달 드라이빙 및 전환형 트윈 챔버 에어 서스펜션 등 첨단 기술을 통해 전기 구동 시스템에서도 그대로 구현한다.싱글 페달 드라이빙 기술도 한 단계 더 진화시켰다 코이카 파키스탄 사무소 15주년 성과 이미지 [한국국제협력단 제공] (서울=연합뉴스) 박현수 기자 = 한국국제협력단(KOICA·코이카)이 파키스탄에 사무소를 개소한 지 15주년을 맞아 19일(현지시간) 수도 이슬라마바드에서 기념 성과 공유회를 개최했다.이날 행사는 코이카의 공적개발원조(ODA) 사업 성과를 되짚고 양국 간 협력 확대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로, 박기준 주파키스탄 대사, 장우찬 코이카 서남아시아팀장, 연제호 코이카 파키스탄 사무소장, 로미나 쿠르시드 알람 기후변화부 장관대행 등 정부 및 국제기구 관계자 70여명이 참석했다.파키스탄은 한국전쟁 당시 우리나라에 물자 지원을 제공한 상위 7개국 중 하나며, 2023년 수교 40주년을 맞아 오랜 우호 관계를 이어오고 있다. 코이카는 1994년 초등학교 설립 사업을 통해 파키스탄과 첫 인연을 맺었다. 이후 2010년 3월 한국의 ODA 사업을 본격적으로 운영, 관리하기 위해 파키스탄 사무소를 정식 개소했다.현재까지 총 23개 사업을 통해 약 8천700만 달러(약 1천200억원)의 무상원조를 제공했다. 이 기간 한국 초청 연수 프로그램에는 파키스탄 공무원 등 1천841명이 참여했다.코이카는 지난 15년간 물·보건, 에너지, 지역개발 등 3대 분야를 중심으로 지원을 이어왔다. 물 분야에선 2011년 펀자브주에 식수탑 14개를 설치한 뒤 주민 주도 운영 체계를 통해 현재까지도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2019년부터는 전국 45개 실험실에 1천256대의 수질검사 장비를 지원하고, 수질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도 병행했다.세계은행(WB)에 따르면 파키스탄 인구의 약 36%만이 안전한 식수를 공급받고 있으며, 유엔아동기금(UNICEF·유니세프)은 전체 가구 중 약 70%가 세균 오염수에 노출돼 있다고 추정한다.보건 분야에서는 식량 자급률은 높지만 여전히 인구 절반이 영양실조에 시달리는 현실에 대응하기 위해 펀자브주 파이살라바드 농업대학 내 '한-파 영양교육센터'를 지난해 설립했다. 교육과 연구, 교보재 개발, 전문가 양성 등이 진행되고 있다.에너지 분야에선 이슬라마바드에 파키스탄 최초의 태양전지 모듈 인증시험소를 구축 중이다. 시험소가 완공되면 국제 품질 기준을 충족하는 태양광 제품 생산이 가능해져, 청정에너지 확대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파키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