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조회sentiment_satisfied 31회 작성일schedule 25-06-06 02:07
조회sentiment_satisfied 31회 작성일schedule 25-06-06 02:07
본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양국 간 무역협상에 대해 매우 좋은 전화 통화를 했다고 밝혔습니다.트럼프 대통령은 현지시간 5일 자신의 SNS에 "시 주석과 최근에 체결하고 합의한 무역 협정의 세부 사항을 논의하는, 매우 좋은 통화를 마쳤다"고 적었습니다.이어 "통화는 약 1시간 30분 동안 진행됐으며, 양국에 매우 긍정적인 결론을 끌어냈다"고 강조했습니다.지난달 10일 스위스 제네바 합의 이후 교착 상태에 빠진 무역 협상과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양국 협상팀이 곧 결정될 장소에서 만날 것"이라고 알린 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등이 미국 대표"라고 소개했습니다.트럼프 대통령은 또, "시 주석은 통화 도중 영부인과 나의 중국 방문을 초청했고, 이에 화답했다"고 밝혔습니다.중국 관영매체도 미중 정상이 전화 통화로 의견을 교환했다고 보도했습니다.신화통신은 시 주석이 5일 저녁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각자 우려를 존중하면서 '윈윈'의 결과를 쟁취해야 한다"며, "중국은 성의와 원칙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시 주석은 또, "제네바 회담 이후 중국은 진지하게 협의를 집행했다"며, "미국은 그간 얻은 진전을 바라보고 중국에 대한 부정적 조치를 철회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신화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통화에서 "미중 협력은 좋은 일을 매우 많이 해낼 수 있으며 미국은 중국과 함께 협의를 이행하기 위해 노력할 용의가 있다"고 언급했습니다.또, "미국은 중국 유학생이 미국에 와 공부하는 것을 환영한다"고 밝혀 미국의 중국인 유학생 비자 취소와 관련해 정책 변화 가능성을 내비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대만 문제에 대해선, 시 주석은 "극소수가 양국이 충돌하는 위험한 지경으로 끌고 들어가는 것을 피해야 한다"고 말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계속해서 '하나의 중국' 정책을 집행할 것"이라고 했다고 신화통신은 보도했습니다.두 정상의 공식 통화는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하기 3일 전인 지난 1월 17일 이후 처음입니다.이용주 기자(tallmoon@mbc.co.kr)기사 원문 - https://imnews.imbc.com/news/2025/world/article/6723016_3672“한국은 에너지 전환을 가장 잘할 수 있는 나라다.”국제 사회의 기후위기 대응을 이끌고 있는 잉거 안데르센(사진) 유엔환경계획(UNEP) 사무총장은 5일 제주에서 열린 ‘세계 환경의 날’ 행사 기자간담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그는 새로 출범한 이재명정부의 기후위기 대응 정책에 대한 기대감을 표했다. 안데르센 사무총장은 “한국은 개발도상국에서 고소득 국가로 빠르게 성장했고, 높은 교육 수준과 기술력을 갖고 있다”며 “에너지 전환을 주도할 수 있는 국가”라고 말했다.그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상당한 비용이 들 수 있지만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비용보다 훨씬 적다. 조속히 행동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 연설을 들으며 (기후위기에 대한) 같은 인식을 공유하고 있다는 생각에 기뻤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전날 취임식에서 “재생에너지 중심 사회로 조속히 전환하겠다”고 밝혔다.안데르센 사무총장은 경제 성장과 에너지 전환을 동시에 이룰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내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봤다. 그는 “제주도가 전기차 보급률을 높인 것처럼 다양한 인센티브와 적절한 인프라로 사람들이 비용 절감 효과를 체감하고 스스로 선택하도록 해야 한다”며 “재생에너지 투자 확대와 석탄발전소 등 쇠퇴 산업 종사자를 보호하는 정책도 필요하다”고 말했다.플라스틱 전주기 관리를 위한 국제협약 제정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에 대해선 “(지난해 12월 부산 회의 이후) 비공식 대화가 계속 이뤄졌고 태국 방콕에서 지역 회의, 프랑스 니스에서 장관급 회담 등이 예정돼 있다”고 전했다. 오는 8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는 정부 간 협상 회의에서 협약을 도출하기 위한 사전 작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는 의미다.세계 환경의 날(6월 5일)은 지구환경 보전을 위한 공동의 노력을 다짐하는 기념일이다. 관련 행사가 한국에서 열린 건 1997년 이후 28년 만이다. 올해는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주제로 19개 정부 대표단과 국제기구 관계자 등이 플라스틱 오염 현황과 협력 방안 등을 논의했다.제주=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 이전글【커뮤니티 홍보 매크로 텔레 @MOASOFT】 오즈카지노 먹튀 여왕벌 먹튀 토토스타 구글에드워즈 네이버검색광고비용 25.06.06
- 다음글❤️ 먹튀검증 TOTOMOA.NET ❤️ 타이틀카지노 토토씨피알 레드불 지지벳 콤프카지노 25.06.0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