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온라인 상담

성함, 연락처를 남겨주시면
빠르게 상담을 도와드리겠습니다.

[보기]
add
TOP

Noblesse

리얼후기

■ 이우석의 푸드로지 - 누룽지원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조회sentiment_satisfied 27회 작성일schedule 25-05-01 14:31

본문

■ 이우석의 푸드로지 - 누룽지원 ■ 이우석의 푸드로지 - 누룽지원래는 가마솥 바닥에 붙은 밥 의미수분율 낮아 보존 쉽고 휴대도 편리금방 지은 돌솥밥의 누룽지는 별미전골 먹은다음 밥 볶아 긁어먹기도중국은 궈바·스페인에선 소카라트쌀 문화권 국가들의 요리도 이색적게티이미지뱅크최근 일본에 쌀이 모자란다고 한다. 지난해 여름부터 품귀 현상이 벌어진 일본의 쌀 대란은 갈수록 심각해져 요즘 한국을 방문하는 일본인 관광객이 무겁게 10㎏짜리 쌀을 사서 들고 가는 진풍경도 자아내고 있다. 일본 농림수산성은 2030년까지 쌀 생산량을 818만t까지 늘리겠다는 목표까지 설정했단다. 많은 생필품이 풍족해진 21세기에 듣기엔 낯선 뉴스다.과거 우리도 그랬다. 요즘이야 찬란한 봄이지만 과거엔 흩날리는 꽃비조차 서러웠던 보릿고개였다. 쌀이 모자라 밥공기 크기도 제한하고 밀가루 먹는 날을 정하고 술빚기도 금지했다. 당시 솥바닥에 붙은 밥을 싹싹 긁어서 말려 두면 나중에 헛헛한 속을 때울 때 좋았다. 그게 바로 누룽지다.그래도 누룽지는 다른 구황식품과는 격이 달랐다. 농축된 밥을 제대로 익혔으니 맛도 좋았고 영양가도 많았다. 게다가 그나마 쌀로 만든 것 아닌가? 누룽지를 찾는 이들은 단지 끼니가 모자라서만은 아니었다. 구수한 맛이 좋아 일부러 누룽지를 원했다. 고급 구황식품이나 아예 기호식품으로 인정을 받았다.솥밥을 마지막으로 푸면 밥과 함께 누룽지를 그릇에 담게 되는데 이를 눌은밥이라 한다. 구수한 맛에 눈독을 들여 이를 따로 챙겨 먹는 경우도 많다. 쉬기 쉬운 밥보다, 누룽지는 수분율이 낮아 보존성이 좋다. 누룽지를 넣고 끓여 먹을 때 물을 얼마만큼 조절하느냐에 따라서 진밥이나 죽, 숭늉 등 마음대로 조리할 수 있으니 편의성도 좋다. 먼 길을 떠날 때 휴대하고 다니며 비상식량으로 썼다. 한마디로 ‘햇반’의 조상이었다. 일부러 밥을 구워 만들기도 하지만 원래 누룽지는 가마솥에 밥을 지을 때 솥이나 냄비 바닥에 눌어붙은 밥을 의미한다. 넓적하게 생겨나 ‘깐밥’, 타서 거뭇거뭇해진 탓에 ‘깜밥’ 등으로 부르기도 했다.한국은 가마솥 문화라 밥을 짓기만 한다면 누룽지는 얼마든지 생겨났다. 누룽지를 쓰는 조리법도 여럿 생겨났다. 물을 충분히 잡아 그저 뭉근한 불로 끓여내면 숭늉이 됐다. 음료■ 이우석의 푸드로지 - 누룽지원래는 가마솥 바닥에 붙은 밥 의미수분율 낮아 보존 쉽고 휴대도 편리금방 지은 돌솥밥의 누룽지는 별미전골 먹은다음 밥 볶아 긁어먹기도중국은 궈바·스페인에선 소카라트쌀 문화권 국가들의 요리도 이색적게티이미지뱅크최근 일본에 쌀이 모자란다고 한다. 지난해 여름부터 품귀 현상이 벌어진 일본의 쌀 대란은 갈수록 심각해져 요즘 한국을 방문하는 일본인 관광객이 무겁게 10㎏짜리 쌀을 사서 들고 가는 진풍경도 자아내고 있다. 일본 농림수산성은 2030년까지 쌀 생산량을 818만t까지 늘리겠다는 목표까지 설정했단다. 많은 생필품이 풍족해진 21세기에 듣기엔 낯선 뉴스다.과거 우리도 그랬다. 요즘이야 찬란한 봄이지만 과거엔 흩날리는 꽃비조차 서러웠던 보릿고개였다. 쌀이 모자라 밥공기 크기도 제한하고 밀가루 먹는 날을 정하고 술빚기도 금지했다. 당시 솥바닥에 붙은 밥을 싹싹 긁어서 말려 두면 나중에 헛헛한 속을 때울 때 좋았다. 그게 바로 누룽지다.그래도 누룽지는 다른 구황식품과는 격이 달랐다. 농축된 밥을 제대로 익혔으니 맛도 좋았고 영양가도 많았다. 게다가 그나마 쌀로 만든 것 아닌가? 누룽지를 찾는 이들은 단지 끼니가 모자라서만은 아니었다. 구수한 맛이 좋아 일부러 누룽지를 원했다. 고급 구황식품이나 아예 기호식품으로 인정을 받았다.솥밥을 마지막으로 푸면 밥과 함께 누룽지를 그릇에 담게 되는데 이를 눌은밥이라 한다. 구수한 맛에 눈독을 들여 이를 따로 챙겨 먹는 경우도 많다. 쉬기 쉬운 밥보다, 누룽지는 수분율이 낮아 보존성이 좋다. 누룽지를 넣고 끓여 먹을 때 물을 얼마만큼 조절하느냐에 따라서 진밥이나 죽, 숭늉 등 마음대로 조리할 수 있으니 편의성도 좋다. 먼 길을 떠날 때 휴대하고 다니며 비상식량으로 썼다. 한마디로 ‘햇반’의 조상이었다. 일부러 밥을 구워 만들기도 하지만 원래 누룽지는 가마솥에 밥을 지을 때 솥이나 냄비 바닥에 눌어붙은 밥을 의미한다. 넓적하게 생겨나 ‘깐밥’, 타서 거뭇거뭇해진 탓에 ‘깜밥’ 등으로 부르기도 했다.한국은 가마솥 문화라 밥을 짓기만 한다면 누룽지는 얼마든지 생겨났다. 누룽지를 쓰는 조리법도 여럿 생겨났다. 물을 충분히 잡아 그저 뭉근한 불로 끓여내면 숭늉이 됐다. 음료이자 후식(입가심)인 숭늉은 우리 한식에서 절대적인 기본 상차림이었다. 밥을 먹고 난 후 마무리는 당연히 숭늉으로 했다. 길 떠나는 이들은 봇짐 속에 누룽지를 챙겼고 전쟁 중에도 나눠줬다고 한다. 선원들이 비상식으로 먹는 건빵(hardtack)의 역할을 빼닮았다. 끓여도 그냥 먹을 수도 있는 것이 ■ 이우석의 푸드로지 - 누룽지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