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온라인 상담

성함, 연락처를 남겨주시면
빠르게 상담을 도와드리겠습니다.

[보기]
add
TOP

Noblesse

리얼후기

맺으며 2. 자재 본연의 힘 건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조회sentiment_satisfied 20회 작성일schedule 25-04-23 22:28

본문

맺으며2. 자재 본연의 힘건축 사진 / 아키프레소노출 콘크리트란 무엇인가?사진작가의 시선으로 본 노출 콘크리트퐁피두 센터 매체 도서관 별관 ‘메종 라 레이누르’ (프랑스) – 렌조 피아노노출 콘크리트는 단순히 ‘예쁜 건축’을 위한 선택지가 아니다. 유지관리, 시공 난이도, 기후 조건 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특히 한국처럼 여름과 겨울의 기온차가 큰 지역에서는 균열이나 누수에 대한 대비가 철저해야 한다.하지만 그만큼 보람도 크다. 처음 마주한 날과 시간이 흐른 후의 모습이 다른 건축. 사진으로 남길수록 더 깊어지는 공간. 나는 이 재료가 가지고 있는 정직함과 감성을 누구보다도 신뢰한다. 디자인 사이트 건축물 보기 (링크)#건축학개론#노출콘크리트 엘프필하모니 건축물 보기 (링크)#건축사진 메종 에르메스 건축물 보기 (링크)3. 환경적 이점건축 영상 / 유튜브 채널 빛의 교회 건축물 보기 (링크)이후로 나는 회사에 사표를 내고, 건축사진작가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그리고 오늘, 나는 이 단단한 재료가 가진 매력과 그것을 담는 사진가의 시선을 글로 풀어보고자 한다.나는 평범한 직장인이었다. 반복되는 루틴과 형광등 아래에서의 일상 속에 어느 날, 한 건축물을 마주쳤다. 외장은 단순했고, 색은 무채색이었다. 하지만 그 안에는 설명할 수 없는 힘이 있었다. 그것이 내가 처음 마주한 ‘노출 콘크리트 건축물’이었다.노출 콘크리트(Exposed Concrete)는 말 그대로 ‘표면 마감 없이 콘크리트를 그대로 드러낸’ 건축 마감 방식이다. 페인트도, 벽지나 석재 마감도 하지 않는다.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을 떼어낸 표면 자체가 건축물의 외관이 되는 셈이다. 마감이 없는 대신, 처음부터 치밀한 계획과 높은 시공 정밀도가 요구된다.세계적으로 주목받는 노출 콘크리트 건축물 5선나는 노출 콘크리트를 찍는 것이, 단순히 벽을 찍는 일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것은 건축가의 철학을 읽고, 시공자의 땀을 기록하며, 공간에 스며든 시간의 결을 기록하는 일이다.국내에서도 대표적인 노출 콘크리트 활용 사례. 박스형 매스를 반복하면서도 조형미를 놓치지 않은 설계가 돋보인다.공연장 자체는 노출 콘크리트가 아니지만, 외부 광장의 구조물과 조형물은 콘크리트를 예술적으로 다루는 방식의 교과서 같은 공간이다.거칠고 단단한 아름다움: 노출 콘크리트 건축을 향한 나의 시선로우올림추가적인 마감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자원의 낭비를 줄이고 친환경적인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열용량이 높아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내부 열을 오래 유지하는 물성도 있다.노출 콘크리트를 잘 담기 위해선 ‘빛의 성격’을 잘 알아야 한다. 아침에는 날카로운 그림자가 패턴을 만들고, 흐린 날엔 부드러운 농담이 생긴다. 실내에서는 자연광이 벽면을 미묘하게 어루만지고, 야간에는 인공조명이 벽의 입체감을 끌어낸다.이런 장면을 포착하려면 단순히 ‘좋은 사진’이 아니라, 건축이 가진 분위기와 감정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건축가는 벽 하나를 위해 수십 번의 스케치를 하고, 시공자는 콘크리트의 기포를 하나하나 관리한다. 나는 그런 이들의 고민과 손길이 만들어낸 순간을 카메라에 담는다.노출 콘크리트 하면 빠질 수 없는 건축물. 내부로 스며드는 십자가 빛이 콘크리트와 어우러져 영적인 울림을 전한다.지하에 반쯤 잠긴 듯한 이 전시관은 콘크리트의 매끄러움과 삼각형 지붕 구조의 절제미가 인상적이다. 자연광을 활용한 내부 공간도 큰 영감을 준다.#건축사진작가김진철 국립현대미술관 건축물 보기 (링크)빛의 교회 (일본, 오사카) – 안도 다다오콘크리트를 기능적으로도, 조형적으로도 사용한 작품. 특히 장기적인 노출을 염두에 둔 표면 설계가 흥미롭다.롯폰기 힐스 모리 타워 옆 ‘21_21 디자인 사이트’ (일본, 도쿄) – 안도 다다오모든 마감이 제거된 자리엔 콘크리트 자체의 질감이 남는다. 이는 구조재이자 마감재로서 이중의 역할을 수행하며, 인위적인 장식을 최소화하는 미학적 접근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건축물은 단단하면서도 절제된 인상을 준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