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온라인 상담

성함, 연락처를 남겨주시면
빠르게 상담을 도와드리겠습니다.

[보기]
add
TOP

Noblesse

리얼후기

[앵커]지난주 우리나라가 시리아와 전격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조회sentiment_satisfied 8회 작성일schedule 25-04-20 14:26

본문

[앵커]지난주 우리나라가 시리아와 전격 [앵커]지난주 우리나라가 시리아와 전격 수교를 맺었단 내용 전해드렸는데요.시리아가 한때 혈맹이었던 북한과 거리를 두고, 한국 외교부 장관을 극진히 대접하며 긴밀한 관계 유지 의사를 밝혀 그 배경에 관심이 쏠렸는데요.시리아에서는 "낡은 동맹의 굴레를 벗어나 진짜 파트너와 외교할 때"라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한상용 기자입니다.[기자]검정색 SUV에서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내립니다.조 장관이 로비에서 기다리던 아스아드 알샤이바니 시리아 외교장관과 악수를 나눕니다.현지시간 지난 10일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에 있는 외교부 청사.조 장관이 한국과 시리아 간 외교관계 수립에 관한 공동성명에 서명하는 장면이 시리아 국영TV에 보도됐습니다.시리아 과도정부 입장을 반영하는 이 매체는 "한국은 불과 50년 전만 해도 원조에 의존하던 빈곤국이였지만, 지금은 세계에서 선진국으로 도약한 대표 사례"라고 소개했습니다.한국과 협력 분야로는 기술 이전과 산업화, 교육, 보건, 철도, 친환경 에너지, 통신 인프라, 청년 인재 양성 등을 꼽았습니다.그러면서 이번 외교적 결정은 "과거 정권이 고수하던 낡은 이념과 편향으로부터 벗어나는 외교정책을 펼치는 게 얼마나 중요한 지 보여준다"며 "실질적 상호 이익을 나눌 수 있는 진짜 파트너와 외교관계를 맺어야할 때"라고 전했습니다.반면 시리아는 한때 혈맹으로 불렀던 북한과 거리를 두는 모습입니다.지난해 12월 과도정부가 알아사드 독재정권을 몰아낸 뒤 다마스쿠스 주재 북한 외교관들은 시리아를 떠난 뒤 아직까지 복귀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외교 소식통은 "시리아는 북한과 단교까지는 아니더라도 계속 거리를 두거나 관계 회복에 적극 나서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더 나아가 중동에서 북한과 협력 관계를 유지해온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는 물론 레바논 친이란 무장단체 헤즈볼라의 지도부는 최근 이스라엘과 전쟁을 치르며 사실상 와해됐다는 분석입니다.북한은 과거 하마스에는 땅굴과 관련한 기술을 전수하고, 헤즈볼라와는 무기 거래를 해 왔다는 의혹을 받아왔습니다.<장지향 아산정[앵커]지난주 우리나라가 시리아와 전격 수교를 맺었단 내용 전해드렸는데요.시리아가 한때 혈맹이었던 북한과 거리를 두고, 한국 외교부 장관을 극진히 대접하며 긴밀한 관계 유지 의사를 밝혀 그 배경에 관심이 쏠렸는데요.시리아에서는 "낡은 동맹의 굴레를 벗어나 진짜 파트너와 외교할 때"라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한상용 기자입니다.[기자]검정색 SUV에서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내립니다.조 장관이 로비에서 기다리던 아스아드 알샤이바니 시리아 외교장관과 악수를 나눕니다.현지시간 지난 10일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에 있는 외교부 청사.조 장관이 한국과 시리아 간 외교관계 수립에 관한 공동성명에 서명하는 장면이 시리아 국영TV에 보도됐습니다.시리아 과도정부 입장을 반영하는 이 매체는 "한국은 불과 50년 전만 해도 원조에 의존하던 빈곤국이였지만, 지금은 세계에서 선진국으로 도약한 대표 사례"라고 소개했습니다.한국과 협력 분야로는 기술 이전과 산업화, 교육, 보건, 철도, 친환경 에너지, 통신 인프라, 청년 인재 양성 등을 꼽았습니다.그러면서 이번 외교적 결정은 "과거 정권이 고수하던 낡은 이념과 편향으로부터 벗어나는 외교정책을 펼치는 게 얼마나 중요한 지 보여준다"며 "실질적 상호 이익을 나눌 수 있는 진짜 파트너와 외교관계를 맺어야할 때"라고 전했습니다.반면 시리아는 한때 혈맹으로 불렀던 북한과 거리를 두는 모습입니다.지난해 12월 과도정부가 알아사드 독재정권을 몰아낸 뒤 다마스쿠스 주재 북한 외교관들은 시리아를 떠난 뒤 아직까지 복귀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외교 소식통은 "시리아는 북한과 단교까지는 아니더라도 계속 거리를 두거나 관계 회복에 적극 나서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더 나아가 중동에서 북한과 협력 관계를 유지해온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는 물론 레바논 친이란 무장단체 헤즈볼라의 지도부는 최근 이스라엘과 전쟁을 치르며 사실상 와해됐다는 분석입니다.북한은 과거 하마스에는 땅굴과 관련한 기술을 전수하고, 헤즈볼라와는 무기 거래를 해 왔다는 의혹을 받아왔습니다.<장지향 아산정책연구원 지역연구센터장> "시리아에 새로운 과도정부가 들어서면서 과거 아사드 정권 [앵커]지난주 우리나라가 시리아와 전격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