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온라인 상담

성함, 연락처를 남겨주시면
빠르게 상담을 도와드리겠습니다.

[보기]
add
TOP

Noblesse

리얼후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조회sentiment_satisfied 13회 작성일schedule 25-04-06 13:04

본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국제공항에 도착한 뒤 취재진을 향해 오른손 주먹을 쥐어 보이고 있다.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10% 기본 관세’가 5일 0시 1분(현지시간, 한국시간 5일 오후 1시 1분)부터 발효됐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일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공언한 ‘관세 폭격’의 1단계 조치다. 이로써 미국으로 수입되는 대부분의 상품에 10%의 관세가 매겨지게 됐다. 한국산 수입품에도 10%의 관세가 기본 부과된다. 캐나다ㆍ멕시코 등 극히 일부 국가만 이번 기본 관세 대상에서 빠지는 사실상 보편 관세 방식이다. 이미 25%의 품목별 관세가 부과된 철강ㆍ알루미늄과 자동차, 그리고 곧 품목별 관세 부과가 예정된 반도체ㆍ목재ㆍ구리ㆍ의약품 등은 중복 적용 예외 대상이다. 본격적인 ‘관세 공습’은 트럼프 대통령이 ‘최악의 침해국’으로 규정한 57개국에 대한 국가별 상호 관세가 적용되는 9일 0시 1분부터다. 한국산 제품에는 9일부터 기본 관세 10% 대신 상호 관세 25%가 부과된다. 중국 34%, 대만 32%, 일본 24%, 인도 26%, 유럽연합(EU) 20% 등에도 국가별 상호 관세율이 적용된다. 이번 상호 관세에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지난 3일 ‘미국산 자동차 25% 관세 부과’를 선언한 데 이어 중국이 4일 “10일부터 미국산 수입 제품에 대해 34%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는 보복 조치를 내놓는 등 ‘트럼프발 관세전쟁’은 글로벌 차원으로 확대ㆍ격화하고 있다. 글로벌 금융시장이 기록적 낙폭으로 한 주를 마감하고 안전 자산인 금마저 4일 3% 가까이 폭락하는 등 ‘R(경기 침체)의 공포’가 전 세계를 덮치는 형국이다. 박경민 기자미국의 국가·품목 관세 부과 현황 그래픽 이미지. 그럼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강행 의지를 거듭 확인하며 관세전쟁을 독려했다. 그는 5일 소셜미디어 글에서 맞불 관세를 발표한 중국을 겨냥해 “중국은 미국보다 훨씬 큰 타격을 입었다”며 “중국과 다른 많은 국가들은 미국을 나쁘게 대해 왔다”고 주장했다. 이어 “미국은 멍청하고 무기력한 채찍질 대상이었지만 더는 아니다”며 “이것(관세)은 경제 혁명이며 우리는 승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굳세게 버텨라. 쉽지 않겠지만 최종 결과는 역사에 남을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국제공항에 도착한 뒤 취재진을 향해 오른손 주먹을 쥐어 보이고 있다.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10% 기본 관세’가 5일 0시 1분(현지시간, 한국시간 5일 오후 1시 1분)부터 발효됐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일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공언한 ‘관세 폭격’의 1단계 조치다. 이로써 미국으로 수입되는 대부분의 상품에 10%의 관세가 매겨지게 됐다. 한국산 수입품에도 10%의 관세가 기본 부과된다. 캐나다ㆍ멕시코 등 극히 일부 국가만 이번 기본 관세 대상에서 빠지는 사실상 보편 관세 방식이다. 이미 25%의 품목별 관세가 부과된 철강ㆍ알루미늄과 자동차, 그리고 곧 품목별 관세 부과가 예정된 반도체ㆍ목재ㆍ구리ㆍ의약품 등은 중복 적용 예외 대상이다. 본격적인 ‘관세 공습’은 트럼프 대통령이 ‘최악의 침해국’으로 규정한 57개국에 대한 국가별 상호 관세가 적용되는 9일 0시 1분부터다. 한국산 제품에는 9일부터 기본 관세 10% 대신 상호 관세 25%가 부과된다. 중국 34%, 대만 32%, 일본 24%, 인도 26%, 유럽연합(EU) 20% 등에도 국가별 상호 관세율이 적용된다. 이번 상호 관세에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지난 3일 ‘미국산 자동차 25% 관세 부과’를 선언한 데 이어 중국이 4일 “10일부터 미국산 수입 제품에 대해 34%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는 보복 조치를 내놓는 등 ‘트럼프발 관세전쟁’은 글로벌 차원으로 확대ㆍ격화하고 있다. 글로벌 금융시장이 기록적 낙폭으로 한 주를 마감하고 안전 자산인 금마저 4일 3% 가까이 폭락하는 등 ‘R(경기 침체)의 공포’가 전 세계를 덮치는 형국이다. 박경민 기자미국의 국가·품목 관세 부과 현황 그래픽 이미지. 그럼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강행 의지를 거듭 확인하며 관세전쟁을 독려했다. 그는 5일 소셜미디어 글에서 맞불 관세를 발표한 중국을 겨냥해 “중국은 미국보다 훨씬 큰 타격을 입었다”며 “중국과 다른 많은 국가들은 미국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