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신도시부동산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 CKL 도쿄는 매일 손님맞이로 분주하다. 개소한 지난해 11월부터 하루 평균 비즈니스 미팅 세 건이 진행된다. 방문객의 열에 아홉은 한국·일본의 콘텐츠 산업 관계자들. 방송, 게임, 애니메이션, 음악, 웹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방안을 모색하거나 사업을 구체화한다. 이미 공동제작에 착수해 손발을 맞추는 기업들도 있다. 더핑크퐁컴퍼니는 오는 5일부터 이틀간 일본 '아소비 마나비 페스타'에서 '베베핀' 뮤지컬 공연을 선보인다. 영화 '그 시절, 우리가 좋아했던 소녀' 등을 만들었던 자유로픽쳐스가 대표적 예다. CJ ENM 재팬과 글로벌 온라인동영상 서비스(OTT)에 송출될 드라마를 제작하고, 일본 지상파 방송사와 현지에서 방영될 드라마를 기획·개발한다. 전자칠판이 있는 컨퍼런스 룸에서 의견을 모으고, 100석 규모의 세미나실인 인터랙티브 홀에서 의상, 소품 등을 점검한다.일사천리로 진행된 비결은 잦은 미팅과 회의다. 자유로픽쳐스는 CKL 도쿄에 지사를 마련했다. 지난해 입주기업으로 선정돼 사무공간은 물론 법률·세무·회계 컨설팅, 계약서 검토, 홍보·마케팅 등을 지원받는다. 혜택을 누리는 다른 기업으로는 ▲방송·영화 분야의 '인디컴', '이븐이엔티' ▲만화·웹툰 분야의 '투유드림', '디씨씨이엔티', '몬스터라이엇', '씨엔씨레볼루션' ▲애니메이션·캐릭터 분야의 '더핑크퐁컴퍼니', '에스에이엠지엔터테인먼트' ▲음악 분야의 '네모즈랩', '제이엠쥐' ▲게임 분야의 '스카이워크' ▲뮤지컬 분야의 '에이치제이컬쳐' ▲증강현실(AR) 분야의 '투핸즈인터랙티브', '애니펜' 등이 있다. 하나같이 일본 시장에서 새로운 수익 창출을 노린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일본 도쿄 번화가인 도라노몬힐스에 CKL 도쿄를 마련했다. CKL 도쿄를 운영하는 이혜은 콘진원 도쿄비즈니스센터장은 "대부분 드라마 공동제작, 만화·웹툰 지식재산(IP)의 애니메이션화 등 협업을 추진한다"며 "일본에서 한국 콘텐츠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 대체로 수월하게 진행한다"고 밝혔다. 몇몇 기업은 이미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 '핑크퐁', '아기상어' 등의 슈퍼 IP를 보유한 더핑크퐁컴퍼니의 경우 미국, 중국, 홍 전동킥보드 타는 모습. 연합뉴스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를 타다 사고가 나 크게 다친 사람이 최근 7년 새 3배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머리를 가장 많이 다친 것으로 조사돼 헬멧 등 안전장비를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질병관리청은 3일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2023년),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 조사’(2023년) 통계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개인형 이동장치 등으로 인한 중증외상 환자가 2016년 34명에서 2023년 103명으로 3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개인형 이동장치 중증외상 환자 가운데 가장 많은 42.4%가 머리 부분을 크게 다쳤고, 가슴(32.7%), 다리(13.5%) 등이 뒤를 이었다.개인형 이동장치 중증환자가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은 사고 건수 자체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2016년 388건에서 2023년 1820건으로 4.7배나 증가했다. 개인형 이동장치 환자는 주로 10~20대 등 청년층이 많았다. 경증을 포함한 개인형 이동장치로 인한 손상 환자 1258명을 살펴보니, 40.4%가 15~24살로 집계됐다. 환자들 가운데 86.3%가 전동킥보드를 타다가 다쳤고, 전기자전거는 10.2%였다.개인형 이동장치를 타다가 다친 사람들은 대부분 헬멧을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를 받은 환자 가운데 75%가 헬멧을 착용하지 않았으며 착용한 사람은 11.2%에 그쳤다.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개인형 이동장치를 이용할 때 올바른 헬멧 착용법과 안전 수칙에 대한 인식개선이 매우 중요하다”며 “머리 손상 등 중증외상을 예방하기 위해 헬멧 착용은 필수”라고 말했다. 질병청은 이날 개인형 이동장치 안전 수칙 및 헬멧 착용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안내문을 배포했고, 캠페인 등 안전관리 강화 활동도 지속할 예정이다.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
다산신도시부동산